先週「アジア文化言語」の講義で韓国と北朝鮮の「国境」を話題にした。日本は島国だから国境線が身近にない。学生たちの感想がポートフォリオに書かれている。韓国と北朝鮮との軍事境界線があり、敵対、徴兵制がある。「朝鮮民主主義共和国」と言いながら人権問題が多いのはなぜであろう。直接、隣接する国があるため国家間では問題がより複雑になる。
文化相対主義とは自分たちの価値や見解で他者に対する理解と対話を目指す態度のことをいうが、北朝鮮は人権と基本的自由を考えるきっかけになった。異文化は大切であるが、あまり強調し過ぎると国民の統合がむずかしくなる。などのコメントがあった。
지난주 아시아 문화언어 강의에서 남북한 국경을 화제로 삼았다. 일본은 섬나라이기 때문에 국경선이 가깝지 않다. 학생들의 감상이 포트폴리오에 적혀 있다. 남한과 북한의 군사분계선이 있고 적대, 징병제가 있다. "조선민주주의공화국"이라며 인권문제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직접 인접해 있는 나라가 있기 때문에 국가 간에는 문제가 더 복잡해진다.
문화상대주의란 자신들의 가치나 견해로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와 대화를 지향하는 태도를 말하는데, 북한은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른 문화가 중요하지만 너무 강조하면 국민통합이 어려워진다는 등 코멘트가 있었다.
文化相対主義とは自分たちの価値や見解で他者に対する理解と対話を目指す態度のことをいうが、北朝鮮は人権と基本的自由を考えるきっかけになった。異文化は大切であるが、あまり強調し過ぎると国民の統合がむずかしくなる。などのコメントがあった。
지난주 아시아 문화언어 강의에서 남북한 국경을 화제로 삼았다. 일본은 섬나라이기 때문에 국경선이 가깝지 않다. 학생들의 감상이 포트폴리오에 적혀 있다. 남한과 북한의 군사분계선이 있고 적대, 징병제가 있다. "조선민주주의공화국"이라며 인권문제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직접 인접해 있는 나라가 있기 때문에 국가 간에는 문제가 더 복잡해진다.
문화상대주의란 자신들의 가치나 견해로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와 대화를 지향하는 태도를 말하는데, 북한은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른 문화가 중요하지만 너무 강조하면 국민통합이 어려워진다는 등 코멘트가 있었다.